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우리 몸에서 가장 풍부한 조직인 근막이란?
    Pilates,필라테스/Movement principle,원리 2024. 5. 3. 12:50

     

    안녕하세요 :)

    제가 최근 읽은 책 구조적 체요법(John Smith)과 

    필라테스 선생님과 근막 스터디를 시작했는데,

    오늘은 근막을 중점으로 우리 몸의 결합 조직망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풍부한 조직인 근막이란?

     

    < 목차 >

    1. 근막이란?

    2. 근막 조직의 층(Fascia layer)

    3. 표층근막(Superficial fascia)

    4. 심층근막(Deep fascia) 
       1) 건막성 근막(Aponeurotic fasciae)
       2) 근외막성 근막(Epimysial fasciae)

     

     


     1. 근막이란? 

     

    근막이란? 제1차 근막연구 회의

    우리 몸에서 가장 풍부한 조직이라고 하는 근막이란 무엇일까요?

     

    약 100년전까지만 해도 우리 인체의 근육이 근막으로 연결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사실을 몰랐어요.

    1916년에 처음으로 근막을 발견한 아이다롤프(Ida Paulin Rolf(1896-1979))가 

    생화학 박사 연구 논문을 준비하다가 처음으로 근막을 발견했습니다.

    아이다롤프(Ida Paulin Rolf(1896-1979)) / 그녀의 저서 Rolfing

     

    근막은 제 1차 근막 연구 회의에서

    "인체에 침투하여 구조적 지지를 위한 전신 연속적인 

    3차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결합 조직 시스템의 연조직 구성 요소"로 정의되었습니다.

     

    근막은 모든 내부장기 기관, 근육, 뼈, 신경 섬유 및 혈관계를 상호 침투하고 

    둘러싸며  신체를 이어주는 시스템이죠. 

     

    근막은 모든 걸 감싸고 있어요. 뇌까지도요!

     

    근막은 아래 사진에서 보이듯

    근육 세포들의 주변을 둘러싸고 묶을 만큼 풍부합니다.

    근육 전체를 덮고 있고 더 나아가 힘줄 또 힘줄막의 외층들을 둘러싸고 있기에

    근막과 근육조직은 동일한 계통 안에 있는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근육조직 내 근막 / 출처: 구조적 체요법

    - 근막의 역할에 대해 정리해 보자면

    • 근막은 모든 외형을 유지
    • 근막은 형태를 이루는 틀을 제공하고, 서로 분리시키기도, 응집시키기도 하며 지지해 주는 기능
    • 근막은 인접 구조물들이 서로 마찰 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함(히알루론산이 슬라이딩 시스템 형성)

     2. 근막 조직의 층(Fascia Layer) 

     

    근막은 피부와 근육 사이에서 다양한 두께의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진 막 형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허벅지 구조 / 근막 조직의 층(Fascia Layer)

     

     

    신체조직의 층을 표면에서부터 심부까지 살펴보면 

    피부 - 표면 지방층 - 표면근막 - 심부 지방층 - 심부근막 - 근조직을 통해 안쪽으로 심부까지 증식된 근막망이 있습니다.

     

    근막 조직의 층(Fascia Layer)


     3. 표층근막(Superficial fascia) 

     

    표층근막 Superficial fascia

    피부 밑에는 피하층으로 부르는 표층근막이 있습니다.

    이것은 느슨한 결합조직의 연속되는 층으로 피부와 심부근막사이에 있으며,

    신체의 표면적인 외형을 따라가고 있어요.

     

    표면근막에는 대부분의 표면 신경, 혈관 및 림프관의 미세한 그물망에 의해 얽혀져 있고

    다양한 두께의 피하지방들이 집합하기 쉬운 곳입니다.

     

    이 표층근막은 전신에 걸쳐 매우 다양하고 부위마다 특별한 역할을 하는데

     

    - 손바닥

    손바닥 같은 곳은 주름 밑에 지방이 전혀 없이 매우 얇아

    여기에서 심부근막과 피부의 긴밀한 결합이 이 층들을 움직이거나 미끄러지지 않게 하고

    손바닥의 표면을 물건을 집는 데 뛰어나게 만듭니다.

     

    -발바닥

    발바닥에서의 표면근막의 역할은 충격을 흡수하는 패드 역할을 하지요.

     

    -셀룰라이트

    엉덩이와 허벅지의 움푹하게 들어간 곳으로 우리가 셀룰라이트라고 칭하는 부분도

    나이 들어감에 따라 이 층으로부터 느슨해져서 축 쳐지기 쉬운 것이죠.

     

    표층근막(Superficial fascia)

    - 표층근막에 대해 정리해 보면

    • 조직의 아래에 있는 진피에 단단히 부착되어 피부 아래 조직의 얇은 층을 형성
    • 충격흡수(예, 발바닥)
    • 섬유성 탄성의 그물코 모양의 조직
    • 순환을 담당하는 유체와 대사산물을 위한 잠재적 공간
    • 지방을 저장
    • 체온 조절과 단열 제공
    • 모세 혈관망과 림프 채널을 포함하며 유체의 흐름을 조절
    • 염증성 삼출액을 포함 림프 배수를 도움
    • 혈관을 보호( 근막사이로 혈관이 박혀 지나감)

     4. 심층근막(Deep fascia) 

     

    심층근막은 표층근막 아래에 심층근막이 뻗어 있는데,

    이것은 근육들의 표면, 뼈(흉골, 경골의 전면, 장골능선, 쇄골 등)의 표면 및

    표면의 힘줄(무릎과 발목, 손목) 위로 흐르고 있는 하나의 밀집된 결합 조직입니다.

     

    심층근막(Deep fascia)

    - 심층근막에 대해 정리해 보면

    • 표층근막 바로 아래 위치하고 표층근막에 붙어 위치
    • 질기고, 단단, 조밀하여 튼튼한 구조
    • 근육과 상호 작용하여 근막에 힘 전달에 관여함
    • 고유수용감각과 운동조절에 관여
    • 복막, 심막, 흉막은 심부근막의 요소로써 특성화 
    • 내장기관들을 둘러싸고 분리함
    • 스트레스에 반응하며 심해지면 점성도가 짙어짐(ex. Trapezus; 스트레스받으면 어깨가 뭉침)
    • 자세를 안정화시키는데 관여
    • 신경계와 뇌를 감쌈

     

    Gallaudet(1931)은 근막 해부에서
    이 심부근막을 완전히 벗겨내면
    근외막(개개 근육들의 가장 바깥에 위치한 근막층)이 손상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는 흥미로움을 지적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아래와 같이 심층근막을 두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두가지 층으로 심층근막 분류

     

    1) 건막성 근막(Aponeurotic fasciae)

     

    건막성 근막은 심층건막이라고도 하며 (아래 사진 분홍색 부분)

    근외막성 근막에 비해 더 질기고 두꺼운 성질로

    근막밑의 근육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근력을 멀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건막성 근막(Aponeurotic fasciae)

    • 1mm 두께의 섬유 성초(fibro sheath)로 구성됨
    • 근막밑의 근육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서 근력을 멀리 전달함
    • 건막성 근막과 근외막 사이에는 *소성결합조직이 있어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다.
    • 근외막은 근막 확장을 통해 사지의 건막성 근막으로  연결(주로 관절 주변부)

     

    *소성결합조직: 상피 조직하, 근육 내 등에 잘 발달되어 힘줄등에 많고 엘라스틴과 콜라겐을 포함 / 네이버 지식백과


     

    2) 근외막성 근막(Epimysial fasciae)

     

    근외막성 근막(Epimysial fasciae)

     

    근외막성 근막은 근육이 보일 정도로 아주 얇게 각각의 근육들을 감싸는 동시에 

    그들의 내부를 세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들은 근외막성 근막 내에 개별적으로 감싸져 있고, 

    모든 이 주머니들은 하나의 조각으로써 함께 연결되어 있습니다.

     

     

    Ida P Rolf의 유추를 인용하자면, 

    오렌지의 껍질은 우리의 피부,  표면 및 심부근막을 의미하고,

    근육들은 오렌지 개개 조각들을, 

    그리고 근육근막은 개개 조각들을 싸고 분할하는 동시에 오렌지의 껍질로부터 분리시키는 섬유성의 막을 의미 합니다.

     

     

    -근외막성 근막에 대해 정리해 보자면

    • 평균적으로 얇은 두께로 근육을 잘 감싼 형태의 섬유층
    • 근외막성 근막의 콜라겐 섬유들 사이의 공간에 히알루론산이 존재하여 섬유의 움직임시 슬라이딩을 제공하여 근육이 독립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함
    • 근육들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신경혈관 다발을 덮고, 혈관과 신경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근육이 움직이는 동안 그 형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함

     

    오늘은 필라테스 선생님들과 스터디를 기반으로 

    기본적으로 근막은 무엇인지, 근막이 우리 피부 아래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에 대해 

    설명드려 봤어요.

    1916년에 처음으로 근막을 발견한 아이다롤프(Ida Paulin Rolf(1896-1979))의 말로 마무리 할게요.

     

    결합조직, 특히 근막은 재조직화된 신경종말 안에 있다.
    지속적인 대사 교환은 수분 대사와 함께 
    근막과 친밀한 관계를 통해 구조적 재조직화를 가능하게 한다.

    -Ida P Rolf(1979)-




    다음 시간에는 근막은 어떤 성분으로 이뤄져 있는지 구조와 

    우리가 근막이완, 폼롤러 마사지를 자주 해주면 좋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왜 중요한지, 또 어디를 풀어주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 이야기 나눠 보도록 할게요 :)

     

     

    목과 등이 시원한 폼롤러 스트레칭

    안녕하세요! 요즘 봄비가 내리고 날이 흐리면서 몸이 찌뿌듯하시진 않으신가요. 오늘은 그래서 폼롤러를 이용해서 목과 등을 시원하게 풀 수 있는 동작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 우리가 오래

    re-movement.tistory.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