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묵직하고 뻐근한 허리통증 원인은 근막?
    Pilates,필라테스/Movement principle,원리 2024. 5. 24. 16:42

    안녕하세요! 

    오늘은 필라테스선생님들과의 근막 3번째 스터디 내용을 정리해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묵직하고 뻐근한 허리통증 원인은 근막일 수 있다는 사실과

    근막은 언제 손상되며 근막과 암의 연관 관계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해요.

    묵직하고 뻐근한 허리통증 원인은 근막?


    < 목차 >


    1. 허리통증 원인이 근막일 수 있는 이유

    2. 근막은 언제 손상되는가

    3. 근막의 회복 / 섬유아세포


    4. 움직임이 근막에서 중요한 이유


    5. 근막과 암




    1. 허리통증 원인이 근막일 수 있는 이유
    https://pubmed.ncbi.nlm.nih.gov/24076047/
     

    Sensory findings after stimulation of the thoracolumbar fascia with hypertonic saline suggest its contribution to low back pain

    Injection of hypertonic saline into deep tissues of the back (subcutis, muscle, or the surrounding fascia) can induce acute low back pain (LBP). So far, no study has analyzed differences in temporal, qualitative, and spatial pain characteristics originatin

    pubmed.ncbi.nlm.nih.gov

     

     

    위 논문 실험에서는 허리통증의 잼재적 원인으로 

    흉요추 근막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12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통증을 느끼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농도 식염수를 

    피부, 근막, 근육 각각의 층에 주사를 하였습니다.

     

    허리통증원인 근막일 수 있는 이유

     

    실험자에게 통증 강도, 시간등의 평가를 요청하였을 때

    첫 번째 사진에 나타나는 빨간색을 통점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통증의 정도는 근막 > 피부 > 근육 순서
    였고

     

    피부에서 나타나는 통증은 날카롭게 아픈 느낌이었다면

    근막에서 나타난 통증은 "묵직하다" , "진이 빠진다", "뻐근하다"로 

    이는 주로 만성적으로 허리통증을 겪는 분들의 양상과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A(요추 회전), B(요추 굽힘과 신전)

     

    지난 시간 근막 조직에 고유수용기(Proprioception)가 많이 존재한다고 말씀 드린 바 있는데

    허리통증자가 건강한 사람보다

    고유수용감각 오류가 많이 나타날 거란 가설로 한 

    실험이 있습니다.

     

    연령대가 비슷한 허리통증을 가진 환자군과 건강한 사람 각각 24명의

    고유수용성 감각을 비교 연구 해보았는데

     

     *A(요추 회전), B(요추 굽힘과 신전)의 움직임을 가져갔을 때 

    능동적으로 재배치를 테스트하는 평가에서

     

    허리통증을 가진 환자군에서 특히 회전되는 동작에서 
    고유수용성 감각의 유의한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분들은 근막 조직 내 고유수용감각의 오류로

    몸통 자체가 회전되어 틀어진 생활을 계속하고 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통증이 나타난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죠.

     


    2. 근막은 언제 손상되는가?

    근막은 언제 손상되는가?

     

    위 논문 실험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고유수용성감각이 떨어졌을 때 복합적인 결과를 초래해 통증이 유발될 수 도 있으며,

    가장 손상도가 높은 순서로 나열해 보자면

    1. 외상
    2. 수술로 인한 근막 절개
    3. 수술로 인한 흉터조직
    4. 염증반응
    5. 잘못된 자세 및 습관

    외상, 근막 절개 등이 근막 손상도가 가장 높은데

    예를 들어 발을 자주 삐시는 분들은 통증이 심해져 병원에 방문하면

    인대가 찢어졌다는 소견을 듣기도 합니다.

    근막손상/출처:헬스케어뉴스

    이 말은 실제로는 인대를 감싸고 있는 근막이 실제로 먼저 찢어진 후 인대 손상이 나타난 것이죠.

    근육 파열도 마찬가지로

    근육 보다도 근막이 먼저 손상되고, 사실 근육보다도 근막의 손상이 어마어마합니다.

     

    염증 반응과 잘못된 자세 및 습관은 근막을 섬유화 시키며 손상됩니다.

     


    3. 근막의 회복 / 섬유아세포

     

    근막의 회복 / 섬유아세포

     

    근막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연부 조직으로 혈액 순환이 증가됩니다. 혈류가 증가되면 더 많은 영양분이 조직으로 들어가고 노폐물이 제거되는데 순환이 개선되면 근막 유착이 완화되고 근막 시스템이 잘못 작동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로 인해 손상된 조직이 회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듭니다. 보통 염증(재생) 과정은 2주 정도

     

    염증(재생) 과정이 감소하고 섬유아세포 활동이 조절되어 염증으로 인한 통증과 흉터 조직의 치밀 화가 감소 합니다.

     

    섬유아세포의 재생반응

    섬유아세포가 염증(재생) 반응을 하게 되면

    평소 맨 좌측의 모습이 섬유아세포의 모습에서 가장 우측의 모습으로 섬유를 계속해서 만들고

    염증(재생) 반응을 마치면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갑니다.

     

    이 과정에서 섬유아세포의 활동이 원활히 조절되지 않으면 섬유화가 진행되는 것이죠.

     

     


    4. 움직임이 근막에서 중요한 이유

    깁스 고정 / 출처:폴센트

     

    우리는 뼈가 접질리거나 부러지게 되면 깁스로 고정을 하여 환부를 움직이지 못하게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고정은 근막과 근 주위막에 수직방향의 콜라겐 섬유 증가(섬유화)를 초래하여정상적인 구조를 방해하고 불규칙한 방향을 가진 섬유의 증가로 섬유의 네트워크를 망가트리게 됩니다.

     

    정상 근막 조직(좌측) 과 고정으로 섬유화가 진행된 근막 조직(우측)

     

    고정 이후 섬유화와 함께 근육 안에서의 콜라겐 섬유도 탄성을 잃게 됩니다.

    그러면서 움직임의 가동범위에 제한이 생기게 되고 통증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출처 : 근막피트니스

    여기서!

     

    우리가 다리를 기브스로 고정해 두는 것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요통이 있는 분들은

    평상시 오랜 시간 동안의 좌식 업무로 

    스스로가 습관처럼 나의 허리, 어깨 등을 움직임 없이

    묶어 놓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5. 근막과 암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18-26198-7

     

    위 연구에 따르면 매일 10분 동안 가볍게 스트레칭을 하면조직의 염증과 섬유화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트레칭이 국소적으로 늘어난 조직 내에 종양의 성장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쥐에게 유방조직 암세포를 이식하고

    A 쥐 그룹은 스트레칭을 4주 동안 10분씩 매일 진행하였고, 나머지 그룹은 스트레칭을 하지 않았습니다.

     

     

     

    [ 실험 결과 ]

    • 4주 동안 매일 스트레칭을 적용했을 때 스트레칭은 유방 종양성장을 억제합니다.
    • 앞다리와 뒷다리의 동시 신장으로 인해 몸통의 피하조직은 길어지고,

    이는 종양을 둘러싼 피하 조직과 심부 조직을 같이 스트레칭시킵니다.

     

    사진 A와 같이 신체를 길게 끝 범위까지 가져가야 말단부 조직까지 움직이고 돌아오는 작용으로

    근막과 조직의 슬라이딩 현상이 계속 나올 수 있습니다.

     

    • 조밀한 유방 조직을 가진 쥐는 유방 종양이 3배 더 증가하고 종양이 폐로 빠르게 번졌습니다.
    • 조밀한 유방 조직에 있는 단백질인 콜라겐이

    암이 혈류를 향해 기어가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암세포 / 출처:암이란닷컴

    • 실제로 암세포의 미세 환경 내 염증 및 대사 이상이

    단순한 암세포에 대한 수동적인 반응이 아닌,

    종양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결합조직은 면역체계의 본거지입니다.
    • 만성염증과 섬유증은 뻣뻣한 결합조직을 초래하며 암의 원인이 됩니다.
    • 암세포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근막이라는 기초가 필요하며 근막 조직의 매트릭스가 암이 퍼져나가는 환경이 된다.
    (위스콘신 대학 Patricia Keely 박사)


    • 근막치료는 결합조직의 염증과 섬유증을 감소시켜 암 확산 및 전이에 직접적이고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오늘은

    여러 논문들의 실험을 참고하여

    묵직하고 뻐근한 허리통증 원인은 근막일 수 있다는 사실

    근막은 언제 손상되며 근막과 암의 연관 관계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어요.

    다시 한번 움직임의 중요성을 느끼고

    필라테스 회원들에게도 습관적으로 스트레칭 숙제를 더 내드려야겠다 생각했습니다.

    이 글을 보시면서 오래 앉아 계셨다면

    근막 건강을 생각해보며 기지개 시원하게 켜시면 어떨까요!!

    우리 모두 통증 없이 건강하자고요! ♥

     

     

     

     

    우리 몸에서 가장 풍부한 조직인 근막이란?

    안녕하세요 :)제가 최근 읽은 책 구조적 체요법(John Smith)과 필라테스 선생님과 근막 스터디를 시작했는데,오늘은 근막을 중점으로 우리 몸의 결합 조직망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re-movement.tistory.com

     

     

    근막의 구성요소 알아보아요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 근막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드렸었죠.오늘은 이어서 근막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근막의 구성요소를 알아볼게요.   근막의 구성요소 알아보아요.1. 세포바깥

    re-movement.tistory.com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