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막의 구성요소 알아보아요Pilates,필라테스/Movement principle,원리 2024. 5. 6. 12:28
안녕하세요 :)
지난 시간 근막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드렸었죠.
오늘은 이어서 근막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근막의 구성요소를 알아볼게요.
근막의 구성요소 알아보아요. < 목차 >
근막의 구성요소 알아보아요.
1. 세포바깥바탕질(The extracellular matrix)]
2. 콜라겐(Collagen)
3. 엘라스틴(Elastin)
4. 레티큘린(Reticulin)
5. 세포바깥바탕질과 물(The ECM and Water)
6. 프로테오글리칸,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PGs, GAGs, and HAs)
7. 섬유아 세포(The fibroblast)
8. 그 외의 세포들 (Other cells)
1. 세포바깥바탕질(The extracellular matrix)]
세포바깥바탕질(ECM)/ 참조:근막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David Lesondak 세포바깥바탕질은(ECM)은 정확히 말하자면 신체의 다른 모든 요소가 만들어지는 발판입니다.
그 부분이 신체 내 세포물질이 생산되는 곳이죠.
이것은 우리 몸의 작은 내부 공간이지만 결코 우주 공간보다 더 간단하지는 않아요.
세포바깥바탕질의 섬유는 신체의 모든 배열에 구성을 만들고 도움을 줍니다.
그것은 신체가 만들어지는 발판을 형성하고
또한 세포에서 세포로 기계적 연결을 제공합니다.
2. 콜라겐(Collagen)
콜라겐/출처:weekly newtree 근막의 섬유질 부분은 신체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인 콜라겐으로 대부분 구성되며
15종류의 콜라겐이 있는데
우리는 1형, 2형, 3형이 결합조직에서 주로 발견되는 유형이라 이를 위주로 볼게요.
콜라겐(Collagen) 1형 콜라겐 :
뼈, 피부, 힘줄, 인대 등에서 발견되며 신체의 모든 콜라겐에서 90%를 차지합니다.2형 콜라겐 :
1형보다 훨씬 얇아 연골 및 추간판에서 발견됩니다3형 콜라겐 :
3형 콜라겐은 피부, 골막, 동맥, 기관 및 세포에서도 발견됩니다.
신장되는 기관의 구조적 유지와 상처치유를 제공하고
힘줄, 인대, 뼈의 골막에 대한 부착물을 중재하기 위해 사용되며,
흔히 근육과 힘줄의 연결 부위에서 발견됩니다.콜라겐의 역할 - 콜라겐, 뼈, 근막
콜라겐은 울프의 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울프의 법칙이란, 뼈는 일정한 무게에 적응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강해지고
이는 평생 동안 진행됩니다.
콜라겐, 뼈, 근막 / 체중부하 훈련과 뼈 밀도 연관성 예를 들면 우주비행사는 저항할 대상이나 환경이 없기 때문에 다시 웨이트 트레이닝을 받아야만 뼈의 밀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지구로 돌아왔을 때 골밀도가 적거나,
골다공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체중부하 훈련이 유익할 수 있는 이와 같은 특성 때문입니다.
3. 엘라스틴(Elastin)
노화와 함께 감소하는 엘라스틴 엘라스틴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결합 조직에 탄력을 추가하는
탄성 섬유이며 원래의 길이의 230%까지 늘어났다 원래 모양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팔뚝의 피부를 한번 잡아당겨보면 엘라스틴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거예요.
엘라스틴은 노화가 들거나 햇빛에 너무 많이 노출되면 섬유의 특성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4. 레티큘린(Reticulin)
레티큘린(Reticulin) 레티큘린은 훨씬 더 섬세한 제3형 콜라겐으로 형성되고,
기관의 콜라겐 네트워크의 대부분을 형성합니다.
레티큘린은 각 근섬유의 근육속막에서도 발견됩니다.
5. 세포바깥바탕질과 물(The ECM and Water)
세포바깥바탕질과 물(The ECM and Water) 세포바깥바탕질은 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세포사이의 *간질액은 15리터 정도 됩니다.
우리의 몸은 최대 70%의 물로 구성되어 있어요.
우리가 매일 마시는 것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우리가 소변을 보는 것이나 체외로 배출되는 양은 적게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간질액: 동물의 각 조직 세포 사이에 있는 액체. 일부는 혈관으로 되돌아가지만 대부분은 림프관으로 들어가 림프액이 된다. 표층 근막은 7.5리터의 간질액을 가지고 있고, 매일 7.5리터의 간질액이 혈관계 외부에서 우리 몸의
세포들을 씻어내고 그 후 대부분 림프로 가게 됩니다.
간질액의 흐름은 영양소를 세포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염증반응이나 림프의 부종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간질액의 흐름은 신호를 만들어 종양세포와 림프구를 림프절로 유도하기도 합니다.
간질액의 흐름은 조직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필수적입니다.
부항과 침술은 간질액의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는 추측이 있기도 합니다.
참조: https://study.com/learn/lesson/video/interstitial-fluid.html
6. 프로테오글리칸,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PGs, GAGs, and HAs)
프로테오글리칸,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PGs, GAGs, and HAs) 기저물질은 또한 친수성인 프로테오글리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프로테오글리칸은 물을 끌어 들이고 세포바깥바탕질의 콜라겐 구조를 보호합니다.
물을 좋아하며 겔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테오글리칸은 글루코사미노글라칸(GAGs)이라 불리는 작은 분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은 스펀지처럼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세포바깥바탕질의 90%가 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됩니다.
콜라겐 섬유의 강성과 함께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은 세포바깥바탕질이 압박에 매우 잘 저항하도록 도와줍니다.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은 일반적으로 히알루론산(HAs)이며
히알루론산은 다른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형제들과의 차이점으로는
히알루론산이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윤활시키는 역할을 하여
조직들이 서로 유착되지 않고 근육과 관절이 미끄러지게 유지하는 유압유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7. 섬유아 세포(The fibroblast)
섬유아 세포는 근막에서 가장 풍부한 세포입니다.
이는 전체 세포바깥바탕질을 위해 일하는 건축업자, 관리인, 철거반 그리고 응급의료진입니다.
섬유아세포들은 세포바깥바탕질 전체를 생산하고 유지합니다.
지금 이 글을 읽는 순간에도 세포 수준에서는 계속 바쁘게 일을 하고 있죠.
섬유아세포는 방향에 민감하여 근막망의 당겨지는 형태에 따라서 스스로를 조직화합니다.
따라서 외상이나 반복적인 움직임, 습관적 운동 패턴 또는 치료를 할 때
근막이 당겨지는 방향이 실제로 중요합니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만성적으로 조직이 단단해지고,
한쪽 어깨가 위로 올라가는 형태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우리는 정확하게 다방면의 움직임이 있는
필라테스와 같은 운동으로 섬유아세포에서 적절한 자극을 준다면
건강한 콜라겐 섬유망 형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근막은 기계적인 공급과 수요에 따라 반응하고 울프의 법칙을 따릅니다.
섬유아세포는 필요한 경우 콜라겐을 더 많이 만들어 내기도 하고
콜라겐을 먹어 없애는 효소를 분비하기도 합니다.
8. 그 외의 세포들 (Other cells)
근막을 구성하는 세포들 근막은 그 외 T세포, 비만 세포, 대식세포, 림프구 및 지방 세포를 포함합니다.
사진: 근막/ 출처: 근막경선 해부학 근막은 인체 내 결합조직으로
이것은 인체의 구조를 지지하고 전신에 3차원적 근막연결을
연속적으로 형성합니다.
모든 장기, 근육, 뼈 그리고 신경 조직에 연결되며
둘러싸고 있고,
신체의 기능적인 시스템을 위해 특별한 환경을 조성한다.
-로버트 슐라입(Robert schleip),2007년 국제근막연구회-오늘은 지난 시간 근막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에 이어
두 번째 근막 이야기로
근막의 구성요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다음 필라테스 선생님들과의 스터디 주제는
이렇게 우리 몸의 전체를 연결하고 있는
근막이 하는 기능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기로 했습니다.
그럼 다음엔 근막의 기능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우리 몸에서 가장 풍부한 조직인 근막이란?
안녕하세요 :)제가 최근 읽은 책 구조적 체요법(John Smith)과 필라테스 선생님과 근막 스터디를 시작했는데,오늘은 근막을 중점으로 우리 몸의 결합 조직망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re-movement.tistory.com